1장 읽은 곳까지의 원픽 (스터디 마지막 부분에 진행)
원픽 대신 작업(work)은 단일 도구에서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태스크(task)로 나누고 다양한 도구들은 애플리케이션 코드를 이용해 서로 연결한다.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때 어떤 도구와 어떤 접근방식이 수행 중인 작업에 가장 적합한지 생각해야 한다.
오늘날 많은 애플리케이션은 계산 중심(compute-intensive)과는 다르게 데이터 중심(data intensive)적이다.이제부터 개발자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뿐만 아니라 데이터 시스템 설계자이기도 하다 에플리케이션은 계산 중심과는 다르게 데이터 중심적이다. 이유 도구는 도구일 뿐, application 을 잘 만드는 것이 중요! 위의 생각을 잘 하기 위해 이 책을 읽는다고 생각해서~ Moving computation is cheaper than moving Data!!! from HDFS Architecture Guide 데이터시스템 설계자가 배울거 알려줄거야 책 전체에서 말하고자하는 큰 맥락 느낌 OT
이 스터디에 기대하는 바 /
스터디하면 자신에게 뭐가 달라지는지책을 차근차근 읽어가면서 다른 사람들과 생각-경험을 나누고 싶습니다. 저도 끝까지 읽고 싶어요! 나는 지금까지 데이터를 다뤄본 경험이 많진 않은데,
이직하고 나서 es 등 nosql 같이 다양한 데이터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어,
이런 환경에 빨리 적응하고 싶고,
그래서 이 책을 통해서 적응 할 수 있는 초석을 다지고 싶어 ㅎ(앗 놓쳤다 ㅎ )
관심 있는 부분을 확장할 수 있겠다는 기대가 있습니다 .
요새 관심있는 부분은 스트림 배치입니다. ㅎ
분산 시스템에도 관심 많습니다 ㅎ
폴트 톨러런스 ㅎ이 책을 읽고 잘 이해합니다 ㅎ
어려운 책을 읽었다는 자신감을 얻는다.
다른 사람들이 책을 어떻게 읽었는지 배운다.
할 수 있다면
신뢰할 수 있고 확장 가능하며 유지보수하기 쉬운 시스템을 지탱하는 핵심 아이디어를 얻어갑니다. ㅎ다양한 주제, 키워드에 대한 완벽한 이해는 아니더라도 어느정도(안개속) 훑고 갈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.
추가적으로 각 서비스에서 어떻게 활용하는지~?
/
누워 있을 시간에 뭐라도 하나 배워 가는거?
다양한 데이터시스템에 대한 개념? 이해?아이디어? 차근차근.
읽기만 하면 지루하니까 이 소재로 이야기하면 재밌겠다. 대화대화베이스 컨셉
회사 시스템 이야기적게 읽어도 큰 그림.
키워드 줍줍
/ 각자 회사들 시스템 성숙도가 다르겠네혼자 읽기에 어려운 부분들을 같이 읽는 거 어떨지 키워드 줍줍
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하고 있는지 얘기 듣기
통계 데이터를 다루고 있고 AWS 를 많이 쓰고 있는데,
이 책을 읽고 나면 좀더 잘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을거라고
기대하고 있어각자 관심있는 장 우선적으로 같이 읽어보기 확장성 / ch2./ ch3. groud rule (2) check in - check out 하기
용기 잃지 않기 :) ㅋㅋㅋ음.. 생각이 안나요! 결석하거나 늦으면 미리 이야기하기 (되도록 빨리)
진도보다 내용에 집중하기쉬는 시간 갖기
용기잃지않기 :)본격 시작전 근황토크? 스터디 방식
스터디 방식 http://egloos.zum.com/agile/v/3684946 결석하거나 늦으면 미리 이야기하기 (되도록 빨리)
용기 잃지 않기시작 전 모두가 근황토크 읽고 쉬는 시간 (09:50-10:00) 이야기하고 다음에 같이 읽을 장 골라보기 각자 관심있는 장 골라보기 -> 이야기하고 -> 고르기 체크아웃- 회고 (어려우면 어렵다고 이야기하기 / 나만 그런건가라고 생각하지 말기) -
스터디 진행
각자 관심있는 장 골라보기 - 우선적으로 같이 읽어보기 챕터 고르고 -22:24 저는 1장 or 2장 or 3장 (순차적으로 읽는 것 선호) 3장, 7장, 10장 1,12 2,6,7 1장, 2장
(스터디 시작하면서 전반적인 내용들을 볼 수 있는장이라고 생각)3,7 - 지금 피곤한데 전에 공부했던 거라 잘 읽히지 않을까 해서 골랐음.
10 - 아예모르는읽을 때 가장 대충 읽었던 장을 꼽았음 시영생각 222 / 스터디시작이니까 가볍게 개요라서 1장 어디까지 읽었는지 11-16p 3p-6p 3p-8p 3-7p 3-9p 한번 스터디방식대로 짧게 진행해보기 회고 인상적인 것 관점의 차이 삼색볼펜 읽기 스터디 처음해보는데
똑같이 읽어도 다른 부분을 중요하다고 느끼는게
인상적이었습니다~- 읽으면 읽을 수록 새로운 부분이 보인다. 처음에는 뭐야 당연한 이야기를 또 이랬는데, 분산시스템이나 다른 지식들하고 같이 결합해서 생각하니까 다르게 보인다.
소오오오름. 꽤 굉장한 책이구나
- 각자 같은 부분을 읽어도 바라보는 것들이 다르네반복해서 읽으니까 오늘은 잘 이해 됐다 시영의 진행스킬, 스터디, 책 읽기 시작한점 아쉬운 것 어떻게 해야 자연스럽게 돌아가면서 밑줄 친 부분을 이야기할 수 있을까? 턴을 넘기는 방법에 대한 고민? 없습니다~ - 혼자 쭉 진행하려고 하니까 당 떨어져서 힘들었음
- 나온 이야기가 인상깊었는데 이야기하고 끝나서 그냥 휘발되는 느낌.10분에 5쪽 읽었다. 쫌 더 많이 읽고 싶다 책에 대한 내용을 많이 읽지 못한점?
자연스러운 진행?
진행자의 수고로움 없이 스터디를 진행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시도해볼만한 것
(아쉬운 것에 대해 / 혹은 아이디어)같이 동시에 밑줄치고 싶다? 어떻게 할 지는.. 줌의 경우는 공동 밑줄이 가능한데, 줌을 사용하는 것도 방법일 지도.. 진행자 랜덤뽑기 재밌을거 같아요 - 퍼실리레이터를 쉬는 시간 후에 바꾼다
- 3부로 쪼개자 (중간에 2번 쉬기)
- 나온 이야기를 기록해볼까?시작할때 진행자 뽑기? ㅎ 진행자의 역할을 최소화
자연스럽게 턴 전달- 오늘 다 못읽으면 다음에 이어서 진행하는건가? 넹, 동의합니다 넵 좋아요 ㅎ 좋슴다 다음에 시도해볼 것 당일 진행자 랜덤뽑기 반가워요 쉬고싶으면 당근을 흔들기 태어나서 처음..!
Overview
Content Tool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