스터디 방식 | |
http://egloos.zum.com/agile/v/3684946 | |
결석하거나 늦으면 미리 이야기하기 (되도록 빨리) 용기 잃지 않기 | |
시작 전 모두가 근황토크 | |
읽을 장 골라보기 | 각자 관심있는 장 골라보기 -> 이야기하고 -> 고르기 |
읽고 | |
쉬는 시간 (09:50-10:00) | |
이야기하고 | |
체크아웃- 회고 | |
(어려우면 어렵다고 이야기하기 / 나만 그런건가라고 생각하지 말기) |
- 스캔한 북(개인이 소유한 종이책 셀프 스캔한 것/ 저작권 ok)에 각자가 삼색 볼펜 체크한 부분을 모아서 보는 방식으로 변경.
이 스터디에 기대하는 바 / 스터디하면 자신에게 뭐가 달라지는지 | 책을 차근차근 읽어가면서 다른 사람들과 생각-경험을 나누고 싶습니다. 저도 끝까지 읽고 싶어요! | 나는 지금까지 데이터를 다뤄본 경험이 많진 않은데, 이직하고 나서 es 등 nosql 같이 다양한 데이터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어, 이런 환경에 빨리 적응하고 싶고, 그래서 이 책을 통해서 적응 할 수 있는 초석을 다지고 싶어 ㅎ | (앗 놓쳤다 ㅎ ) 관심 있는 부분을 확장할 수 있겠다는 기대가 있습니다 . 요새 관심있는 부분은 스트림 배치입니다. ㅎ 분산 시스템에도 관심 많습니다 ㅎ 폴트 톨러런스 ㅎ | 이 책을 읽고 잘 이해합니다 ㅎ 어려운 책을 읽었다는 자신감을 얻는다. 다른 사람들이 책을 어떻게 읽었는지 배운다. 할 수 있다면 신뢰할 수 있고 확장 가능하며 유지보수하기 쉬운 시스템을 지탱하는 핵심 아이디어를 얻어갑니다. ㅎ | 다양한 주제, 키워드에 대한 완벽한 이해는 아니더라도 어느정도(안개속) 훑고 갈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. 추가적으로 각 서비스에서 어떻게 활용하는지~? / 누워 있을 시간에 뭐라도 하나 배워 가는거? 다양한 데이터시스템에 대한 개념? 이해? |
아이디어? | 차근차근. 읽기만 하면 지루하니까 이 소재로 이야기하면 재밌겠다. 대화대화 | 베이스 컨셉 회사 시스템 이야기 | 적게 읽어도 큰 그림. 키워드 줍줍 / 각자 회사들 시스템 성숙도가 다르겠네 | 혼자 읽기에 어려운 부분들을 같이 읽는 거 어떨지 | 키워드 줍줍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하고 있는지 얘기 듣기 통계 데이터를 다루고 있고 AWS 를 많이 쓰고 있는데, 이 책을 읽고 나면 좀더 잘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을거라고 기대하고 있어 |
각자 관심있는 장 우선적으로 같이 읽어보기 | 확장성/ ch2./ ch3. dfsfsdf | ||||
groud rule (2) | check in - check out 하기 용기 잃지 않기 :) ㅋㅋㅋ | 음.. 생각이 안나요! | 결석하거나 늦으면 미리 이야기하기 (되도록 빨리) 진도보다 내용에 집중하기 | 쉬는 시간 갖기 용기잃지않기 :) | 본격 시작전 근황토크?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