책: 데이터 중심 애플리케이션 설계 ( http://www.yes24.com/Product/Goods/59566585 )
- 신뢰할 수 있고 확장 가능하며 유지보수하기 쉬운 시스템을 지탱하는 핵심 아이디어
- 진행 방식
20분동안 읽기 | 삼색볼펜으로 해서 각자 3번 정도 읽음 |
만약 시간 모자라면 5 * n 단위로 연장 | |
대부분의 사람들이 대부분의 내용을 읽는 것 | |
공유/논의/토론 (20분) | 공유도 세번을 함 |
이야기할 때 색깔이 헷갈리니 핵심, 중요한 거, 흥미로운 거 라고 프리픽스를 붙여서 이야기하자 | |
한 페이지에 모두 빨간색(핵심)에 대해 줄을 긋고 -> 이야기 | |
1 | 빨간색(핵심)을 공유 (한 페이지당 한 문장이상이면 안됨/ 없어도 됨) |
ㄴ 다른 사람들 빨간색도 추가 | |
ㄴ 중복되는 것들은 특히 표시 | |
ㄴ 빨간색 vs 파란색 갈리면 이야기 | |
2 | 파란색(비교적 중요)을 공유 |
ㄴ 이야기하고 싶은 부분만 이야기하면 되지 않나? | |
3 | 초록색(흥미/논의하고 싶은)을 공유 |
ㄴ 흥미로운 부분 -> 논의할 것, 자기 경험하고도 연결 | |
다 공유하고 다시 이야기 | 나의 원 픽(문단, 문장)을 공유하기 |
slipp wiki 바로 같이 작성 | 원픽 문장/문단 복붙 + 이유 |
전체 회고 (10분) | 어땠는지, 앞으로 어떻게 개선할지 |
내가 하는 작업에 어떻게 적용할지 | |
끝날때 (5분) | 읽을 챕터 고르기 |
다음에 시도할 것 | 작은 단위로 진행을 돌아가면서 하기 -> 진행자가 밑줄친 부분 읽기 |
진행자가 밑줄친 부분을 다 읽고 나면, 작은 단위로 돌아가면서 이야기 |
2. 회고
22/04/03
회고 | 함께 해서 재밌었고요. 짧은 챕터에서도 관점이 다르다는 게 느껴졌다. 은지 걸로 원픽을 바꿈 |
재밌었어 :) | |
꼼꼼하게 읽을 수 있어서 좋았음 | |
그냥 넘긴 부분의 재발견 | |
읽는데 집중이 되었음 | |
새로운 방식이라 당황스러웠지만 ㅋㅋㅋ 재밌었습니당 |
3. 진행 방식
3-1 그룹을 나누는 방법
1안 고정식
- 사람들의 얼굴도 익히고, 서로를 인지하는 시간이 충분히 있음.
2안 유동식
- 어느 간격으로 변경할 것인가?
- 매번 변경하면 적응하는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음.
3안 mix (놀러가기?)
- 고정으로 가되
- 특정날에 완전 랜덤으로 섞는?
4안 중간 조정 (우선 이 방식대로 진행)
- 고정으로 일단 시작해보고,
- 출석율 이슈.. 등으로 중간 조정
3-2 진도를 유지하는 방법
- 진행한 진도를 다른 그룹에게 공개하되 동일하게 하지 않고, 그룹 별로 진도를 따로 가는 방향
3-3 그룹 정하기
- 사다리 타기 랜덤 (네이버 사다리 타기 이용!)